티스토리 뷰

여름철 조심해야 될 식중독 증상과 예방법

 

여름철 식중독은 주로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음식물에서 빠르게 증식하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. 식중독의 증상은 병원체의 종류와 감염된 사람의 면역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,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

 

식중독 예방과 원인 자세히 알아보기

 

 

 

국민재난안전포털

 

www.safekorea.go.kr

 

목차

1. 일반적인 증상

2.식중독균의 종류

3. 예방방법

 

 

여름철 조심해야 될 식중독 증상과 예방법

 

 

1. 일반적인 증상


  • 구토와 메스꺼움: 식중독의 초기 증상으로, 섭취한 음식을 통해 들어온 독소나 병원체에 대한 신체의 반응으로 나타납니다.
  • 복통: 장내 병원체로 인해 장벽이 자극받아 발생하는 통증입니다. 경련성 통증이 흔합니다.
  • 설사: 병원체가 장내에서 독소를 생산하거나 직접 장 세포를 침범하여 수분과 전해질 흡수 장애를 일으킵니다.
  • 발열: 신체가 감염에 반응하여 체온을 높여 병원체를 제거하려는 반응입니다.
  • 두통: 발열과 탈수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탈수: 설사와 구토로 인해 체내 수분과 전해질이 급격히 손실됩니다.

 

 

 

 

식중독 증상 및 예방

 

2. 식중독균의 종류


살모넬라(Salmonella)

  • 복통, 설사, 발열, 구토
  • 대개 6-72시간 후에 증상 시작
  • 증상은 보통 4-7일간 지속

대장균(E. coli)

  • 복통, 혈변, 발열
  • 심한 경우 용혈성 요독 증후군(HUS)으로 발전 가능
  • 증상은 대개 1~10일 후에 시작되고 며칠에서 몇 주간 지속될 수 있음

노로바이러스(Norovirus)

  • 구토, 설사, 메스꺼움, 복통
  • 두통, 발열, 근육통 동반 가능
  • 증상은 대개 12~48시간 후에 시작되고 1~3일 지속될수 있음

캠필로박터(Campylobacter)

  • 복통, 설사(가끔 혈변), 발열, 구토
  • 증상은 대개 2-5일 후에 시작되고 약 1주일 지속 

리스테리아(Listeria)

  • 발열, 근육통, 메스꺼움, 설사
  • 심한 경우 패혈증, 수막염으로 발전 가능
  • 증상은 대개 1-4주 후에 나타남

 

 

3. 예방 방법


▶식중독 예방 6대수칙 지키기

손씻기 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깨끗히 손씻기
조리, 화장실 사용 전 후, 먹기전 비누로 솟씻기
익혀먹기 음식은 충분히 익혀먹기
*육류는(중심온도 75도씨 1분이상), 어패류(중심온도 85도씨 1분 이상)
끓여먹기 음용수는 끓여서 섭취하고 정수기는 정기적으로 점검 및 관리 필요
구분해서 사용하기 조리기구 칼, 도마 등은 채소, 육류, 어류, 가공식품 등 용도별로 구분해서 사용
세척 및 소독 채소, 과일 등은 흐르는 물로 깨끗히 씻어서 섭취하기
세척시 교차오염 되지 않도록 주의(생채서 → 육류 → 어류 → 가금류 순으로 세척)
보관온도 유지하기 냉장고 5도씨, 냉동고 -18도씨 보관온도 지키기
차가운 음식은 5도씨 이하, 뜨거운 음식은 60도씨 이상에서 보관하기
냉동식품은 냉장고, 냉수 또는 전자레인지에서 해동하기

 

 

 

 

식중독 예방방법

 

여름철 식중독 예방방법

  • 급식소 등에 납품되는 식재료는 적절한 온도 관리 없이 외부에서 방치되지 않도록 식재료 보관 및 부패, 변질에 주의
  • 샐러드 및 신선채소류는 깨끗한 물로 세척하고, 물은 되도록 끓여 마시길 권장
  • 육류 및 어패류, 채소 등은 칼과 도마는 구분사용 하여 교차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
  • 나들이, 학교체험학습, 야유회 등을 갈 때 김밥이나 도시락등의 보관온도가 높아지거나 상온 보관시간이 길어지지 않도록 아이스박스 등을 사용하여 철저한 관리 필수

겨울철 식중독 예방방법

  • 음식물 조리 전후, 재료 손질후, 화장실 사용 후 에는 손 씻기
  • 어패류는 완전히 익혀먹기(중심온도 8도씨 1분 이상)
  • 구토 및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는 조리하지 않기
  • 구토물은 비닐장갑과 마스크를 쓰고 소독해서 치우기

장마철 식중독 예방방법

  • 호우 시 범람된 물이 닿은 식재료는 과감히 버리기
  • 가급적 생식제공 자제하고 익힌 음식제공하기
  • 냄새 및 상태가 안 좋은 음식은 무조건 먹지 않기
  • 채소류는 3회 이상 세척소독
  • 칼, 도마 등 조리기구는 끓이거나 소독해서 사용
  • 싱크대, 조리시설 세척소독 철저히 할 것

 

 

 

 

식중독 증상이 나타나면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, 증상이 심하거나 지속되면 의료 기관을 빨리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.